개인견해 | 25년 보이차 생산지 가격하락 5가지 현상 및 원료 예측가격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31.114) 작성일25-04-05 01:39 조회155회본문
첫 공시한 예상가격보다 실제 거래 금액은 더 낮을 것으로 보입니다. 4월 20일경 단주차 생산 후 구매하세요.
첫 번째 현상: 차 판매업체는 많지만 차 공장은 적음
2년 전만 해도 차 산지 개장 시즌에는 차 공장 주도로 개장식이 열렸습니다. 이는 차 산지 개장을 알리는 동시에 생엽(생잎) 가격을 공표하는 의미였죠. 2017년 모 업체가 처음 시도한 후 각 차 산지에서 이를 모방해 하나의 '전통'처럼 자리잡았습니다. 한 산맥에 수십 개 차 공장이 개장식을 여는 등 매우 번성했죠.
어떤 대형 차 공장은 여러 산지에서 개장식을 열었지만, 정작 생엽을 수매하지 않아 각 산지에서 퇴출당했습니다. 심지어 해당 브랜드 로고가 담긴 옷이나 현수막을 산지에 게시하는 것을 금지하는 규정까지 생겼죠.
최근 5년간 기존 차 공장은 사라지고 외부 신생 브랜드들이 철관음 등 다른 차 종류의 행사 방식을 차용해 홍보했습니다. 하지만 작년부터 이런 현상은 완전히 사라졌고, 올해는 차 공장 대신 차 판매업체와 관광객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과거에는 차 판매업체는 많고 관광객은 적었지만, 최근에는 역할 구분이 모호해졌습니다. 관광객이 차 판매업자인 경우도 있고, 차 판매업자가 관광객인 경우도 있죠. 계절성 수요 폭등은 충동구매 양상입니다. 많은 이들이 차를 꼭 사려는 게 아니라, 계절이 되면 차 산지에 올라가는 습관이 생긴 거죠.
두 번째 현상: 1선 차 산지 생엽 가격 급락
작년에 멍하이(勐海)의 유명 산지 가격이 크게 하락했고, 가격을 내려도 판매가 어려웠습니다. 생산량이 너무 많아서죠. 멍하이의 뿌랑(布朗포랑), 멍송(勐宋맹송), 난누오(南糯남나) 3대 차 산지는 다른 3개 현 전체 생산량을 상회합니다.
예를 들어 이우(易武이무)의 소규모 산지는 봄철 생산량이 고작 수십 근(斤)인데, 한 그루 나무마다 열여덟 명의 업자가 달라붙어 가격이 어떻게 내려갈 수 있겠습니까? 반면 멍하이의 한 마을에서는 봄철 고수(古樹) 차 생산량이 수 톤에 달해 생산량 차이가 천지차이입니다.
생산량이 많으면서 가격이 비싼 것은 차 산지의 수수께끼입니다. 가격 결정은 구매량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죠. 시장에서 들리는 가격은 소매가인 경우가 많습니다. 차 판매업자가 몇 그루 나무에서 몇 킬로그램만 구매한다면 가격 협상권이 있을 리 없죠.
2014년, 2018년 두 해처럼 열기가 극에 달했을 때는 어린 나무(小樹)도 성목(大樹) 가격에 팔렸지만, 다른 해에는 여전히 가격 차이가 있습니다. 최근 새로 등장한 1~4류 차 종류는 솔직히 저도 잘 이해가 안 갑니다.
세 번째 현상: 네티즌 유명인사(网红) 사라지고 전문 차 업자 부상
라이브 커머스가 개인에서 팀 단위로 전환되자 각 산지 차 농가의 퇴출 조치를 받았습니다. 초기에는 스마트폰으로 사진 찍는 여성 방송인이 주문을 받아도 시장이 호황이라 가격이 높아 조작할 필요가 없었죠.
조작에는 근본적인 논리가 있습니다. 나중에는 고수(古樹) 차를 방송하면서 실제로는 어린 나무(小樹)를 판매하는 '비양심적인' 행위가 등장했고, 이후 대형 차 기업의 방식을 따라 타이띠(台地대지) 차를 고수 차로 속이는 팀 단위 방송이 등장하자 각 산지에서 추방당했습니다.
네 번째 현상: 토지 임대 현상 사라짐
명산지의 과열된 임대 가격으로 차 판매업자들이 차나무 밭을 통째로 임대해 어린 나무는 판매하고 고수차는 보관하는 방식으로 비용을 분산시켰지만, 모두 손실을 입었습니다. 지금까지도 많은 이들이 임대료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차 재배는 날씨에 좌우되기 때문이죠.
다섯 번째 현상: 신규 산지 홍보 열풍 사라짐
저의 차 사업 철학은 대세를 따르지 않고, 유명세를 쫓지 않는 것입니다. 명산지라도 맛이 평범하면 의미가 없죠. 최근 만쑹(曼松만송) 차 열풍 이후 어린 나무 차 가격이 만슈(曼秀만수)를 넘어섰고, 이우(易武이무)의 로수이둥(落水洞낙수동), 마헤이(麻黑마흑) 고산 지대 고수 차도 인근 지역보다 가격이 낮은 것은 풍미 차이 때문입니다.
최근 2년간 홍보 전략은 더욱 과장되었습니다. 텐먼산(天门山), 렝수이허(冷水河), 헤이수이량즈(黑水梁子) 등 먼 지역의 어린 나무 차일수록 비싼 가격을 형성했습니다. 새로 심은 어린 나무 차는 당도는 높지만 풍미가 약해 즉시 마시기에는 적합하나 장기 보관에는 부적합합니다.
차 산지의 명성은 차 품질과 무관하고 단순히 호기심에서 비롯됩니다... 이것이 제가 이해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