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필터
[경주요] 숨 보듬이 찻잔, 모비지 다완, 옻칠다관
작품은 단 한 점만 있습니다. 요변, 정교함, 자연스러움을 즐기는 작품으로 볼수록 아름답고 실용적입니다.
[작가 다완] 조선요/방곡요/문경요/영남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작가님의 작품을 소개합니다. 오래전부터 수집한 작품입니다.
[한국 청화백자] 찻잔/그릇/그릇 받침
이름이 알려지기 싫어하시는 무명의 한국 작가 작품입니다. 한국에 숨은 고수가 참 많습니다. 수회작품으로 모든 작품은 1점 입니다.
[초저가] 앤틱 찻잔 젓가락 차통
다다익선
일본에서 수집한 일본/중국 엔틱을 20% 할인된 가격으로 제공합니다. 매 1세트만 있습니다.
[공부차] 상아백자 문향배 세트ver.2
깨끗한 백자 니료로 제작된 상아백자 문향배 세트입니다.심플하고 깔끔한 느낌으로 어느 찻자리에서도 잘 어울립니다.
[토민요] 천목 꽃잎 찻잔(100cc/60cc)
짙은 천목유로 시유하고 내부는 유백색의 유약으로 처리하여 천목유의 매력과 찻물을 감상하는 실용성을 모두 잡은 찻잔입니다.
[공부차] 모미지 다완(유광/무광)
소성시 온도에 따라 녹빛과 분홍의 얼룩이 어우러져 단풍을 닮았다 하여 모미지라 불리는 다완으로, 하나하나의 색감이 달라 소장의 매력이 있습니다.
심천요 진사잔(청색) 70cc
한국 전통도자문화의 우수성과 아름다움을 전승하는 심천요의 청자진사찻잔 입니다.
심천요 진사잔(홍색) 70cc
한국 전통도자문화의 우수성과 아름다움을 전승하는 심천요의 진사찻잔 입니다
남강 유리 진사잔 70cc
녹색과 붉은색이 자연스럽게 섞여있는 진자찻잔입니다. 해남의 화원요 작가님의 작품입니다.
남강 운학 청자배 80cc
물레성형으로 제작 된 청자찻잔으로 전통차를 마실때 사용하기에 좋은 청자찻잔입니다.
남강 내백문 유리진사잔 80cc
진사균열현상으로 만들어진 갈라짐무늬가 새겨진 진사찻잔입니다.
남강 연화문 금점 청자배 60cc
찻잔 안쪽에 심플하면서 우아한느낌의 연꽃무늬가 새겨진 청자잣잔입니다.
조선 보정산 블랙 난초잔 120cc
분청찻잔으로 난초를 철화(철 성분으로 된 유약)으로 그려 까맣게 만들어내 수공예찻잔입니다. 넉넉한 크기로 술잔,찻잔 다양하게 사용하기 좋습니다.
조선 보정산 난화배 100cc/60cc
분청으로 제작된 찻잔으로 코발트원료를 이용해 난초를 그려냈습니다. 넉넉한 크기의 찻잔으로 술잔,찻잔으로 다양하게 사용하기 좋습니다.
[토민요 전남공예명장] 백자 순금 찻잔(술잔)세트 80cc
수공으로 제작된 백자 순금 찻잔(술잔)세트입니다. 24k순금으로 찻잔안쪽과 받침 테두리에 두번 발라서 잘 벗겨지지 않고, 순금이 더 고급진 맛이 있는 찻자리를 가질 수 있습니다.
락쿠 러스트찻잔
중국 이싱에서 자사니로 저온 소성기법으로 제작된 락쿠찻잔입니다. 락쿠기법으로 만들어진 찻잔은 다양한 색감과 질감을 표현할 수 있어 형식에 얽매이지 않은 자유로움이 느껴지는 다구입니다.
[공부차] 장작가마 목엽 천목 다완 진품(珍品)(평형①~㉜)
장작가마 1250도 소성, 어두운 색을 띄는 흑유, 흑유바탕에 화려한 자연색상을 입히기 위해 규소성분이 많은 뽕나무 잎을 발효후 다완 중앙에 부착 한 후 장작으로 고온환원 소성하면 100점중 1점 정도에서 목엽문이 자연적으로 남고, 대부분은 산화되어 흔적이 남지 않습니다. 찻물을 따르면 선명하게 살아나는 목엽의 아름다움에 감탄사가 절로 나옵니다. 황제중에 유일하게 차에 관한 기록을 남긴 900년전 휘종에 의해 창작되었고 가장 아끼던 흑유 목엽 다완입니다. 말차를 격불하는 찻사발이나 찻잔이나 물컵으로 사용해도 좋습니다.
[공부차] 장작가마 목엽 천목 다완 진품(珍品)(반구형①~⑳)
장작가마 1250도 소성, 어두운 색을 띄는 흑유, 흑유바탕에 화려한 자연색상을 입히기 위해 규소성분이 많은 뽕나무 잎을 발효후 다완 중앙에 부착 한 후 장작으로 고온환원 소성하면 100점중 1점 정도에서 목엽문이 자연적으로 남고, 대부분은 산화되어 흔적이 남지 않습니다. 찻물을 따르면 선명하게 살아나는 목엽의 아름다움에 감탄사가 절로 나옵니다. 황제중에 유일하게 차에 관한 기록을 남긴 900년전 휘종에 의해 창작되었고 가장 아끼던 흑유 목엽 다완입니다. 말차를 격불하는 찻사발이나 찻잔이나 물컵으로 사용해도 좋습니다.
[공부차] 크리스탈 수제 금테 물결장식 찻잔 90cc
금테가 둘러진 넉넉한 용량의 크리스탈 찻잔입니다. 투명하고 넓게 펼쳐진 입전과 물결처럼 잡혀져있는 라인이 포인트인 찻잔입니다.
[공부차] 장작가마 목엽 천목 다완 진품(珍品)(대정호1번①~㉒)
장작가마 1250도 소성, 어두운 색을 띄는 흑유, 흑유바탕에 화려한 자연색상을 입히기 위해 규소성분이 많은 뽕나무 잎을 발효후 다완 중앙에 부착 한 후 장작으로 고온환원 소성하면 100점중 1점 정도에서 목엽문이 자연적으로 남고, 대부분은 산화되어 흔적이 남지 않습니다. 찻물을 따르면 선명하게 살아나는 목엽의 아름다움에 감탄사가 절로 나옵니다. 황제중에 유일하게 차에 관한 기록을 남긴 900년전 휘종에 의해 창작되었고 가장 아끼던 흑유 목엽 다완입니다. 말차를 격불하는 찻사발이나 찻잔이나 물컵으로 사용해도 좋습니다.
[공부차] 무안황토 재유 다완
전남 무안에서 나는 황토와 산청토를 섞은 태토에 소나무 재유를 발라 구워 한국 산천의 기운이 그대로 묻어나는 다완입니다.
[공부차] 장작가마 목엽 천목 다완 진품(珍品)(완형①~㉒)
장작가마 1250도 소성, 어두운 색을 띄는 흑유, 흑유바탕에 화려한 자연색상을 입히기 위해 규소성분이 많은 뽕나무 잎을 발효후 다완 중앙에 부착 한 후 장작으로 고온환원 소성하면 100점중 1점 정도에서 목엽문이 자연적으로 남고, 대부분은 산화되어 흔적이 남지 않습니다. 찻물을 따르면 선명하게 살아나는 목엽의 아름다움에 감탄사가 절로 나옵니다. 황제중에 유일하게 차에 관한 기록을 남긴 900년전 휘종에 의해 창작되었고 가장 아끼던 흑유 목엽 다완입니다. 말차를 격불하는 찻사발이나 찻잔이나 물컵으로 사용해도 좋습니다.
[공부차] 크리스탈 수제 불투명 기본 찻잔세트 70cc
다다익선
적당한 크기에 무광으로 제작되어 모던한 느낌이 매력적이고 시원함이 느껴지는 불투명 찻잔세트 입니다.
[공부차] 진사 종형 찻잔 50cc
진사유약을 사용하여 강렬하고 붉은빛이 찻자리의 포인트가 되는 수공 찻잔입니다.
[공부차] 복단지 유광 찻잔 80cc
표준 종형 찻잔에 한국 물레성형으로 물레자국으로 생긴 자연스러운 얼룩이 멋스럽습니다. 작가의 세심한 마감의 정교함이 돋보이는 찻잔입니다.
[공부차] 설국 분청 유광 찻잔 110cc
기본적인 라인의 백색의 분청찻잔으로 심플한 형태와 깔끔한 색상이 어떤 다구와 찻자리에도 잘 어울립니다.
[공부차] 러스터 장식 사각굽 백자잔 50cc
깨끗한 백자에 안쪽에는 투명유를, 바깥쪽에는 아롱이는 유약을 발라 신비로운 느낌이 드는 찻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