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필터
[김대웅 작품] 장작가마 무유소성 차도구
자연의 의도가 만든 기물을 마주함으로써 차와 다기, 그리고 차를 마시는 일에 대해 고찰합니다. 모든 작품은 단 1점만 제작되었습니다.
[공부차] 상아백자 숙우 150cc
따듯함이 느껴지는 상아색의 백자 숙우 입니다. 심플하고 아담한 사이즈의 숙우로 잡기 편하게 손잡이의 모양도 고려해 제작됐습니다.
[경주요]송피문 숙우 170cc
소나무 바람소리를 품고 있는 경주요 송피문숙우입니다. 송피문 다관과 함께 사용하면 좋습니다.
[공부차] 순은 산화 숙우 250cc
99.99% 순은을 손으로 두드려 표면에 검은 산화처리를 하여 관리가 용이한 은숙우입니다.
[공부차] 나뭇가지모양 내열유리 수제 거름망 공도배 700cc
다다익선
나뭇가지를 연상시키는 독특한 T자형 손잡이와 내부의 일체형의 거름망이 있어, 차를 우리는 다관 겸 숙우로도 사용가능합니다.
[공부차] 크리스탈 수제 육각 민무늬 공도배 고형 210cc/240cc
여섯면으로 라인이 시원하게 뻗은 크리스탈 공도배입니다. 심플한 형태로, 어떠한 다구와 페어링해도 잘 어울립니다.
[공부차] 크리스탈 수제 각 민무늬 공도배 저형 200cc
다다익선
윗면이 넓고 아래가 좁아 화려한 튤립을 연상시키는 크리스탈 공도배입니다.
[공부차] 에리 연리문 숙우 240cc
흙토,백토,회토를 혼합하여 자연스럽게 표현되는 연리문 기법으로 제작된 숙우입니다.
[공부차] 정림방 자주니 한와 140cc 반수공
목과 몸통의 지름의 차이가 없어 큰 찻잎을 넣거나 빼기에 용이하여 크게 부풀어 오르는 찻잎을 담기에 좋습니다. 원직의 형태가 일반적이지만 약간의 곡선을 넣어 지나치게 경직되지 않은 부드러움이 있습니다.
[공부차] 자사숙우 80cc/170cc
유려한 선이 깔끔하고 우아한 숙우로, 자사로 만들어 보온력이 뛰어납니다.
[공부차] 크리스탈 수제 민무늬 공도배(180cc/250cc)
다다익선
매끈하고 시원하게 떨어지는 선이 유려한 공도배로, 심플하고 절제된 아름다움이 어느 찻자리에도 어울리는 공도배입니다.
[공부차] 내열유리 수제 컬러 손잡이 항아리 공도배 350cc
다다익선
길게 뻗은 목과 부드러운 어깨선이 인상적인 내열유리숙우입니다. 탈부착이 가능한 거름망이 있어 녹차나 꽃차를 우리는 호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공부차] 크리스탈 수제 유성우 공도배 230cc
다다익선
크리스탈 내부와 표면에 작은 공기방울이 찻물을 담으면 탄산과 같이 청량감을 표현하는 재미있는 공도배입니다. 크리스탈 유성우 찻잔과 함께 사용하지면 좋습니다.
[공부차] 내열유리 수제 복주머니 공도배 260cc
길이가 짧은 호리병 형태의 파란색 손잡이가 포인트인 내열유리 공도배입니다.
[공부차] 유중채복원 국화 공도배
백자위에 단아한 국화가 피어있는 공도배 입니다.
[송하요] 천목 백금 숙우 300cc
고려시대 흑유의 명맥을 잇는 천목유를 사용하여, 검은 빛깔 사이로 검푸름이 도는 우아한 찻잔입니다. 안쪽에 백금채를 씌워 화려함이 대비됩니다.
[공부차] 내열유리 녹차호 350ml
깨끗하고 얇은 유리질로 제작되었으며, 잘록한 목과 봉긋한 어깨, 곧게 솟은 출수구가 깜찍한 녹차호 겸 숙우입니다.
[공부차] 요변 수주 1.2L /1L 차주전자 차호
자연스러운 색과 선의 흐름이 정겨운 수주입니다. 화병으로 사용하기에도 좋습니다.
[공부차] 크리스탈 수제 설형 공도배 250cc
도톰한 크리스탈 병면에 펀칭을 주어 불규칙한 요철이 있는 공도배로, 주둥이가 길게 뻗어나와 출수에 용이합니다.
[섬김공방] 철다 요변 공도배 (단지형) 210cc
불규칙하고 다양한 색의 자연 요변이 아름다운 공도배로, 섬김공방 김동건 작가님의 작품입니다.
[섬김공방] 철다 요변 공도배 (일자형) 230cc
불규칙하고 다양한 색의 자연 요변이 아름다운 공도배로, 섬김공방 김동건 작가님의 작품입니다.
[송하요] 무광화이트 공도배(숙우)
따뜻하고 우아한 무광의 매력이 담긴 숙우입니다.
[송하요] 흑무광 공도배 200cc
고려시대에 유행하였던 흑자(黑磁)의 맥을 잇는 흑무광숙우로 기본형과 순금형이 있습니다.
[공부차] 정림방 홍주니 자사 공도배 210cc 반수공 숙우
영롱한 홍주니가 예쁜 숙우입니다. 자사 숙우로 더욱 좋은 차맛을 즐겨보세요.
[공부차] 정림방 자주니 자사 공도배 210cc 반수공
오묘한 자주니의 매력을 가지고 있는 숙우입니다. 자사 숙우로 더욱 좋은 차맛을 즐겨보세요.
[실버] 수공방짜 매화병 은숙우 200cc
손으로 두드린 문양을 그대로 살려 부드러운 광이 아름다운 은숙우입니다. 나팔꽃같이 펼쳐진 목과 우아한 어깨선이 매력적인 소형 숙우입니다.
[공부차] 무릉도원 금장 조각 은숙우 250cc
손으로 두드려 방짜문양의 숙우위에 무릉도원에서 차담을 나누는 두 신선이 양각된 숙우로 사이사이 금장 장식이 되어 화려함을 더해 가치를 높혔습니다.
[경주요] 흑토 무유 금박장식 숙우 280cc
경주요 특유의 흑토에 유약을 바르지 않고 금박장식을 한 숙우입니다.